스마트도시서비스 지원기관

  • ‘스마트도시서비스 지원기관’은 「스마트도시법」제19조의4에 따른 법정기관으로 스마트도시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시티 정책 개발 및 제도 개선 지원 역할을 담당
  • 2019년 1월, 법률에 따른 지원기관 공모 및 심사 절차를 통해 최초 7개 기관을 선정하고, 같은 해 11월 3개 기관을 추가 선정하여 총 10개 기관이 관련 업무를 수행

관련 법 조항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제19조의4(스마트도시서비스 지원기관의 지정)」

① 국토교통부장관은 스마트도시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하여 전문인력과 시설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요건을 갖춘 연구기관, 단체 또는 법인을 스마트도시서비스 지원기관(이하 “지원기관”이라 한다)으로 지정할 수 있다. <개정 2013. 3. 23., 2017. 3. 21.>

② 지원기관은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다. <개정 2017. 3. 21.>

  1. 스마트도시서비스 관련 정보의 유통 및 유통현황의 조사ㆍ분석
  2. 스마트도시 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인증
  3. 스마트도시기술의 연구ㆍ개발
  4. 스마트도시의 표준화 지원
  5. 스마트도시 전문인력의 양성 및 지원
  6. 스마트도시 및 스마트도시 기술의 해외수출 지원
  7. 스마트도시 인증 지원
  8. 스마트도시서비스 이용실태 조사ㆍ분석
  9. 그 밖에 스마트도시 활성화를 위한 홍보, 정책의 발굴 및 제도 개선 지원

스마트도시서비스 지원기관 선정 과정

지원기관 주요 업무

  • 스마트시티 확산을 위한 정책발굴과 제도개선, 기술개발, 전문인력 양성, 해외 수출 등 지원
  • 데이터 기반 도시운영과 도시의 다양한 기능 간 연계를 위한 관련 제도 정비 및 운영
  • 각 기관별로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산·학·연 및 민간과의 소통과 기술발전을 견인하는 역할 수행
기관명기관
성격
스마트도시서비스 주요 업무스마트도시 관련 주요 실적 담당자
연락처
URL
건축공간
연구원
(AURI)
정부출연
연구기관
  • 스마트도시와 연계한 중장기적 건축‧도시공간 정책연구 수행
  • 스마트도시계획 수립 및 모니터링 지원
  • 국내외 스마트도시 기술‧서비스‧정책 정보 수집
  •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건축 및 도시공간 정책연구
  • 스마트도시계획 수립 지원을 위한 Helpdesk 운영
  • 스마트시티 종합포털 운영‧관리
국토교통과학
기술진흥원
(KAIA)
공공기관
  • 스마트도시 기술 연구 및 개발
  • 스마트도시 전문인력 양성
  • 스마트도시 정책발굴 및 제도개선 지원
  •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 사업단 총괄관리
  • 스마트시티 인력양성사업
  • 스마트시티 규제샌드박스 사업, K-city Network 등
국토연구원
(KHRIS)
정부출연
연구기관
  • 도시성장 단계별 스마트도시 정책 지원
  • 스마트도시 인증제도 개발 및 운영
  • 민간제안사업의 공모 및 지원
  •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 스마트도시 인증제 사업
정보통신
산업진흥원
(NIPA)
공공기관
  • 데이터개방, 테스트베드 제공 등을 통한 창업생태계 조성
  • 글로벌 혁신기업 유치 및 해외진출
  • 교육혁신기술 도입
    • VR, AR기반의 체험중심 콘텐츠 활성화
  • 개방형스마트시티 플랫폼구축, 국제교류협력 등
한국국토
정보공사
(LX)
공공기관
  • 공간정보데이터 특화 스마트도시 지원
  • 디지털트윈 및 서비스 모델 구축
  • 스마트도시 데이터분석 모형 개발 및 복합 도시데이터 분석 전문가 양성
  •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인프라 고도화 기술개발
  • 지능형자동차 인식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공개용 표준 DB구축 등
한국정보화
진흥원
(NIA)
공공기관
  • 정보화전략계획을 통한 스마트도시 정책방향성, 센터구축 및 운영체계 마련
  • AI데이터센터, 통합플랫폼 연계방법 적용 및 운영정책 발굴
  • u-city서비스 지원사업 성과체계 개발 연구
  • 딥러닝 스마트시티의 빅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제안
한국토지
주택공사
(LH)
공공기관
  • 스마트시티 정책 발굴 및 지원을 위한 과제 수행
  • 대외홍보 및 해외수출 견인
  • 국가시범도시 스마트모빌리티 구축 및 사업화
  •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구축 및 R&D수행
  • 국가시범도시 조성 추진 등
  • 월드스마트시티위크행사 주관 등
대한무역
투자진흥공사
(KOTRA)
공공기관
  • 주요 국가별, 분야별 프로젝트 발굴 및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수주 지원 전략 수립
  • 국내 기업의 스마트시티 수주 활동 지원을 위한 해외 진출 지원 인프라 협력센터 구축
  • 기업, 기관, KOTRA 역할이 융합된 해외진출 플랫폼(Team Korea) 운영
  •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전략보고서 발간
  • 주요 지역 로드쇼 개최
  • 현지 전시회 연계 한국 스마트시티 홍보
  • 프로젝트 수주 지원
한국
수자원공사
(K-water)
공공기관
  •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의 해외 확산을 위한 기본구상, 마스터플랜 수립 및 타당성 조사 등 시범사업 수행
  • 해외 스마트시티 기본구상 및 마스터플랜 수립
  • 친환경 수변도시 조성 및 스마트 워터 기술관련 R&D 약 13건 수행
  • 아시아 물 위원회(AWC, Asia Water Council) 설립·운영
  •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기본구상 및 마스터플랜 수립
한국
건설기술
연구원
(KICT)
공공기관
  • 스마트도시 관련 법·제도 개선 지원
  • 스마트도시 정책 발굴
  • 스마트도시 서비스 인증제도 개발 및 운영
  • 스마트도시 연구 ‧ 개발 지원 및 성과 체계화
  • 스마트도시 국내외 확산을 위한 홍보 및 국외 진출 지원
  •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서비스 리빙랩 개발 연구 등 약 62건의 관련 연구 수행
한국교통연구원
(KOTI)
공공기관
  • 스마트도시 관련 정부정책 발굴 및 지원
  • 스마트도시 관련 입법화 지원(법·제도 개선 및 개정)
  • 스마트도시 기술의 연구개발 수행 및 기획 지원
  • 스마트도시 및 스마트도시 기술의 해외수출지원
  •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시행계획 및 서비스 로드맵 수립 등 지원
  • 국가시범도시 공유차량 활성화「스마트도시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입법화 등 지원
  •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연구개발사업 등 수행
  • 한-아세안 스마트시티 장관회의간 태국 디지털경제진흥원(DEPA)과의 업무협약(MOU) 체결 등 지원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KIND)
공공기관
  • 한국형 스마트시티 기본구상 및 마스터플랜 글로벌 확산 지원
  • 해외 국가 대상 마스터플랜 수립 및 타당성 조사 등 시범사업 수행
  • 우리기업의 해외 스마트시티 사업 수주를 위한 해외 진출 지원 인프라 구축
  • 해외 스마트시티 정책 자문 및 컨설팅 제공
  • K-City Network 프로그램
    -’20년 아시아 7개국, 중남미, 중동을 포함한 12개국 스마트시티 도시계획 및 실증형 사업 MP, FS 수립
    -’21 우즈벡, 케냐, 필리핀, 인니 4개국 스마트시티 계획 MP, FS 수립
  • 경제혁신파트너십프로그램(Economic Innovation Partnership Program)
    -’20년 인도네시아 신수도이전 4개 MP 수립
    -’21년 인도네시아 신수도이전 5개 세부계획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