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양성 6개 대학
‘인력양성 6개 대학’은 국토교통부 ‘혁신인재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스마트시티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한 특성화
교육을 통해 산업 활성화 및 해외진출에 필요한 핵심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공모를 통해 선정되었다.
선정된 학교는 KAIST,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연세대학교이며,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KAIST (한국과학기술원)
사업 목표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플랫폼인 스마트 시티 산업을 주도할 핵심 고급인력 양성
- ICT 기술 발전에 따른 첨단 스마트 시설 물들을 기획, 설계, 시공, 운영할 뿐 만 아니라 정책 수립도 가능한 융·복합형 전문 인력 양성
- 양성된 전문 인력들은 산업·기술·학제간 융합 및 글로벌 산업 구조 재편을 주도하는 핵심 역할 수행
사업 기간
- U-City 석·박사 지원 사업 1·2단계를 통해 특성화된 교과목들을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혁신인재 육성을 위한 교과 과정 및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본 사업 추진을 통해 향후 5년간 스마트시티 프로그램의 확장, 혁신, 고도화를 통해 KAIST 스마트시티 프로그램의 세계화 및 선진화를 목표로 설정
<KAIST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사업 추진 로드맵>
사업비
구분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4차년도 | 5차년도 | 계 | 구성비 |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합 계 | 437.971 | 442.971 | 437.971 | 442.971 | 437.971 | 2,199.855 | 100% | |
정부지원금 | 290 | 295 | 290 | 295 | 290 | 1,460 | (66.37%) | |
대학 부담금 |
대학 | 147.971 | 147.971 | 147.971 | 147.971 | 147.971 | 739.855 | (33.63%) |
협력기관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소 계 | 147.971 | 147.971 | 147.971 | 147.971 | 147.971 | 739.855 | (33.63%) |
신입생/졸업생 관련 정보
- 기존 U-City 석·박사지원사업 1단계를 통해 석사 113명, 박사 28명으로 총 141명의 학생을 선발하였으며, 2단계에서는 석사 88명, 박사 86명으로 총 174명의 학생을 선발함
-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사업을 통해 5년간 석사 106명, 박사 44명, 총 150명의 학생을 선발하고 기존의 스마트시티 인력양성사업의 재학생을 본 사업에 유치하여 국내외 스마트시티 전문 인력을 양성
- 석사과정 평균 21명/년, 박사과정 평균 9명/년 선발 계획
네트워크
-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계획 :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사업 참여 대학원생의 인턴 프로그램, 현장실습, 공동연구 개발 등 참여
- 스마트시티 유관기관(민간기업/연구소) 인턴 및 현장실습 : 스마트시티 분야 실무경험을 통한 교육 의욕 고취와 스마트시티 분야 동향과 연구 주제 탐색, 스마트시티 민간전문가들과의 교류
- 국제협력사업 수행 : 국제협력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국제협력위원회 구성 및 운영을 통해 대학원 교육의 국제화와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구축
- 해외 대학과의 교류 확대 : 연구교류 및 공동연구, 공동학위 프로그램, 교환학생 및 장/단기 해외출장 및 파견 등 다양한 기회의 교류 확대
- 스마트시티 유관기관에의 공헌 : U-City 석·박사과정 지원사업 졸업자 중 관련 연구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스마트시티 유관 기관에 종사
계획
- 본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사업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특화 사업은 도시의 기반을 이루는 사회기반시설물을 지능화하고 이렇게 지능화된 시설물에 스마트 서비스를 탑재, 운영할 수 있는 창의적인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으로 총 네 가지로 구분
- 재난대응형 탄력적 인프라 (Resilient and Smart Infrastructure) 분야 : 스마트 사회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공 후에도 충분한 구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유지관리 시스템 관련 연구 진행
- 지속가능 환경 (Sustainable Environment) 분야 : 기술, ICT 기술, 환경 및 에너지 기술을 융합하여 지능화된 사회기반시설 및 탑재된 스마트 서비스가 오랫동안 지속가능하도록 만들어주는 기술을 교육/연구하는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다른 대학의 유사 프로그램과 차별화를 시도
- 스마트 도시 시스템 (Smart Urban System) 분야 : KAIST 정보과학기술대학은 ICU와의 통합으로 인해 교수진 120명 이상의 세계 최대 규모의 ICT기술 관련 단과대로 성장하였으며, 스마트시티(사회기반시설) 관련 각 분야와의 융합에 상당히 용이한 교육 및 연구 환경 구축
- 지속가능한 에너지 인프라 (Renewable Energy & Earth Resources) 분야 : 에너지 수급체계의 비영속성과 환경파괴 문제를 해결하기 우해 지열, 풍력, 태양열, 바이오 매스 등 지속가능한 신재생 에너지원 탐색과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연구 진행
강점(특징)
- 학과 내의 융·복합 연구뿐 아니라 산업디자인학, 전산학, 전자공학, 기계공학, 산업공학 등 타 학과 연구진들과의 공동 연구 및 교류가 용이하고, 대학 차원에서 이를 장려함으로써 학제 간 융합연구를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 석·박사 과정 학생들은 해외 유수 대학의 학생들과의 교류를 통해 폭넓은 안목과 국제적 식견을 갖출 수 있으며, 전공분야 영어강의 수강으로 해외 특허/논문 발표 및 해외 진출에 이점을 가짐
- KAIST는 스마트시티, 미래도시, 스마트 사업 등 다양한 연구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축적된 잠재력이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사업을 수행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부산대학교
사업 목표
“연안도시재생형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총괄계획가 양성”
부산대학교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사업은 ‘스마트시티에 관한 폭넓은 이해와 통섭력을 가진 연안도시재생형 스마트시티 총괄계획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학제간 융합 교육 및 실무형 프로그램을 통한 스마트시티 스페셜리스트를 양성하며, 이를 위해 산학연연계·국제협력 등 다양한 사업을 실시한다.
- 연안도시재생형 스마트시티 융합인재 양성
- 스마트시티 전문 총괄계획가 양성
- 연안도시재생형 스마트시티 스페셜리스트 양성
사업 기간
- 2019년 3월 5일 ~ 2023년 12월 31일 (4년 10개월)
사업비
구분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4차년도 | 5차년도 | 계 | 구성비 |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합 계 | 405.7 | 405.7 | 413.9 | 415.9 | 418.9 | 2,060.1 | 100% | |
정부지원금 | 290 | 290 | 285 | 287 | 290 | 1,442 | (70.00%) | |
대학 부담금 |
대학 | 115.7 | 115.7 | 128.9 | 128.9 | 128.9 | 618.1 | (30.00%) |
협력기관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소 계 | 115.7 | 115.7 | 128.9 | 128.9 | 128.9 | 618.1 | (30.00%) |
신입생/졸업생 관련 정보
- 신입생 모집목표 : 총 84명 (석사 60명, 박사 24명)
- 졸업생 배출목표 : 총 65명 (석사 50명, 박사 15명)
네트워크
- 기 구축된 네트워크를 활용한 공동연구 기반 구축 : 국책연구기관, 지자체 산하 연구기관 등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사업 수행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교류하고자 함
- 현장 답사를 통한 지자체와의 협력체계 구축 : 현장 답사 및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자체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연안도시재생형 스마트시티 계획 트랙에 참여하는 대학원생들의 실무적 해결능력을 배양함
- 국제적 협력체계를 활용한 교육 및 연구 교류 : 국외 다양한 연구기관과 국제적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사업 수행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교류하고자 함
계획
교육분야
- 1-2차년도 : 융합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 연안도시재생, 재난관리, 환경·기후변화, 교통안전, 교통공학, 주거환경 분야에서의 도시계획에 관한 기초 교과목을 개설하고, 스마트시티에 활용될 통신시스템, 프로그래밍 등의 교과목을 개설
- 3-4차년도 : 학제 간 융합 교과목을 운영하고, 5차년도에 ‘연안도시재생형 스마트시티’ 통합 교과목을 개설하기 위한 방안 검토 및 ‘연안도시재생형 스마트시티 계획’ 트랙 자립화를 위한 계획안을 수립
- 5차년도 : ‘연안도시재생형 스마트시티’ 교과목 개설을 통한 학제 간 융합 및 실무형 교육을 추진함. 또한 ‘연안도시재생형 스마트시티 계획’ 트랙 증서를 배부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 트랙을 자립화
연구분야
- 도시회복력 향상 및 스마트 방재안전도시 구축
- 스마트 교통 시스템 구축
- 스마트 환경 도시 구축
- 스마트 도시계획 시나리오 프로그램 개발
- 5G, IoT통신 시스템 설계
- 포용적 주거환경 모델 구축
- 스마트 도시재생 설계모형 구축
강점(특징)
- 부산대학교는 2050 탄소중립을 위한 부산광역시 기후변화대응계획 수립과 에코델타시티 플랫폼 총괄 및 세종 5-3구역의 스마트시티용 블록체인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용역을 수행하는 등 국가 스마트시티 사업에 적극 참여 중임.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사업 참여 경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연안도시재생형 스마트시티 총괄계획가 양성할 예정
- 풍부한 융합형 인재육성사업 수행 경험 및 국내·외 연구교류 네트워크 : BK21 플러스(Brain Korea 21 +),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사업’, ‘BB21플러스(Brain Busan 21+)’ 등 풍부한 인력양성사업 수행 경험이 있고, 인력양성사업 수행 과정에서 구축한 국제 연구협력 및 국내·외 대학과의 네트워크 활용 가능
- 기후변화 및 도시계획, 포용적 주거환경, 보행안전 및 생활안전증진 등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 중임. 이러한 연구 수행 경험은 [재난관리], [환경·기후변화], [교통안전], [주거환경] 분야의 연구 수행 과정에 도움
- 현대중공업 『선박 수중구조물 모니터링을 위한 수중 초음파 모뎀 개발』, LG전자 『에어컨 무선통신 개발』 등 산업계와 연관된 과제를 다수 수행한 경험이 있어 교육 및 연구뿐만 아니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이 가능한 환경을 보유하고 있음
서울대학교
사업 목표
“미래 도시문화창발과 도시기술혁신을 주도할 핵심인력 양성”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스마트시티 트랙」
교육혁신 |
|
---|---|
기술혁신 |
|
도시혁신 |
|
사업 기간
- 총 사업기간은 2019년-2023년까지 5개년/3단계로 계획
- 2019년은 사업기반구축단계로 서울대형 스마트시티 인재육성사업의 비전을 구축하고 국내외 협력기관과의 구체적인 사업구상 완료
- 2020-2022년은 사업기반정착단계로서 서울대 특화형 스마트시티 교육프로그램 운영, 취업·창업 지원체계, 특허·연구지원체계, 국내외 최고수준의 인턴기반구축, 협력기관과의 공동프로젝트 추진
- 2023년은 사업기반검증단계로서 성과를 검증하고, 환류체계를 거쳐서 향후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을 추진
사업비
구분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4차년도 | 5차년도 | 계 | 구성비 |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합 계 | 294.60 | 415.52 | 415.52 | 415.52 | 415.52 | 1,951.68 | 100% | |
정부지원금 | 190 | 290 | 290 | 285 | 290 | 1,345 | (69.00%) | |
대학 부담금 |
대학 | 104.60 | 125.52 | 125.52 | 125.52 | 125.52 | 606.68 | (31.00%) |
협력기관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소 계 | 104.60 | 125.52 | 125.52 | 125.52 | 125.52 | 606.68 | (31.00%) |
신입생/졸업생 관련 정보
- 사업기간 내 75명의 인력 배출 목표(석사 40, 박사 35) 및 취업률 100%
- 졸업생 사후관리 : 스마트시티 인적 네트워크 구축, 서울대 내 스마트시티 관련 세미나 유치 및 참여 독려, 졸업생 취업 현황 및 스마트시티 관련 정보 공유, 기존 인력의 스마트시티 관련 재교육
네트워크
산학협력 네트워크
- 서울대학교는 국립대학 법인으로 다양한 교내기관을 통해 적극적으로 산학협력을 수행 및 학내의 79개 벤처기업과 적극적으로 협력
- 서울대학교 연구공원에 입주해 있는 삼성전자, LG전자, SKT, 코웨이 등의 기업 부설 연구소 및 산업체와 공동으로 설립한 연구센터가 산학협력의 구심점 역할
- 대학산업기술지원단 :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국 45개 공과대학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1996년 결성된 조직으로 기업들의 문제 발굴 및 대학과의 교류를 확대, 기업 기술력 향상에 이바지
국제협력 네트워크
- 국제 교류 지원프로그램 운영 : ITPP(Internation IT Policy Program)를 통해서 전 세계 67개국 출신의 263명의 개발도상국 ICT 분야 공무원 졸업생 네트워크 확보
- 해외 유수의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 : 공과대학 기준으로 조지아 공대, 프랑스 INSA 등 26개의 기관과 공동학위 과정 등 다양한 네트워크 구축
계획
- 혁신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 기반환경 조성
- 시흥스마트캠퍼스 활용전략
- 산학연계와 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유기적 결합
- 스마트시티 R&D 연계
- 스마트시티 해외진출을 위한 글로벌 리더 양성
강점(특징)
- 융합전공 스마트시티 글로벌 융합, 일반대학원 내 건설환경공학부 스마트시티 트랙 운영 통한 적극적인 융합연구 및 협동교육 진행 경험을 기반으로 건축·도시·IT·기계 등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다분야 협동연구 및 인재양성이 가능
- 서울대학교 시흥스마트캠퍼스는 자율주행, UAM, 데이터기반 시티랩 등 스마트시티 건설에 요구되는 신기술에 대해 엄격하고 투명한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플랫폼인 Testbed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
- SNU공학컨설팅센터 및 공학전문대학원 등 다양한 교내기관을 통해 적극적으로 산학협력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산학 공동연구·현장실습·재직자 교육 참여 실적을 쌓고 있음
- 2006년부터 추진해 온 국제화 사업의 일환으로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세계 유수 연구소와 기업 및 국제기관 등에 파견
성균관대학교
사업 목표
“미래 첨단 도시건설을 위한 다양한 융복합 스마트시티 교육 및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스마트시티 관련 산업계/지자체 수요를 반영한 특성화 교육을 통해 산업 활성화 및 해외진출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 전문인력을 양성”
사업 기간
- 협약체결일 ~ 2023년 12월 31일 (4년 10개월)
사업비
구분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4차년도 | 5차년도 | 계 | 구성비 |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합 계 | 410 | 410 | 415 | 442 | 440 | 2,117 | 100% | |
정부지원금 | 290 | 290 | 295 | 292 | 290 | 1,457 | (68.8%) | |
대학 부담금 |
대학 | 120 | 120 | 120 | 150 | 150 | 660 | (31.2%) |
협력기관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소 계 | 120 | 120 | 120 | 120 | 120 | 600 | (30.8%) |
신입생/졸업생 관련 정보
-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계획은 5년간(2019년-2023년) 석사 75명, 박사 15명의 신입생을 모집하고, 석사 68명, 박사 15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자 함.
네트워크
- 산학연 협력체계 : 스마트도시 관련 지자체, 유관기관, 산업체와의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하여 관・산・학 협력체계를 구축함. 상호협력 분야로 강의교류, 교재개발, 인턴쉽 개선, 창업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 국제적(해외기관) 협력체계 : 성균관대학교는 대학본부 차원에서 세계 746기관과 1563개의 교류협정을 맺고 있으며, 본교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스마트시티 관련 연구교류 및 학생교환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으며 본 사업을 통해 더욱 확대
계획
- 글로벌 스마트시티 교육과정 운영 : 다학제 단일학과기반 스마트시티 특화 인재 육성 프로그램 운영, 융・복합 Cross-Link형 스마트시티 교육프로그램 운영, Lean Startup 모델기반 실무형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연구환경 개선 : Lean Startup 기반 연구 및 실험・실습 환경 구축, 산학협동연구 및 인턴십 프로그램을 통한 실무능력 강화, 국제협력 및 공동연구 추진 등
- 대내·외 협력을 통한 학과 운영 방안 개선 : 상설위원회를 통한 학생실적 및 학과운영 개선, 글로벌 리딩 기간과 양방향 협력체계 구축, 창업 지원 포럼 운영 등
- 협력체계구축 및 강화프로그램 수립 : 지연특화(수원시) 관산한 연구 및 교육 협력체계 구축, 해외기관 협력체계 구축, 스마트시티 인재 육성을 위한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수립 및 실행 등
강점(특징)
- 스마트시티 연구에 적합한 최첨단 연구 장비 확보 : Smart City Lab을 2013년부터 운영하여 Visualization 디스플레이 장비, 3D printer, 3D Cutter, LBS 장비, 3D Laser Scanner 등 첨단 장비 확보
-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스마트시티 지적재산권 개발 및 사업화 지원 : 지식재산권 출원 및 등록을 체계적으로 지원하여 기술이전으로 연계하기 위한 특허관리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전담조직(TLO : Technology Licensing Office) 운영
- 스마트시티 산학협력 선도 시스템 구축 : 가족회사・산학협력협의체・산학협동조합(UNIC)으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협력 시스템을 구축을 통해 국내외 우수한 산업체와 유기적인 공조체계 구축과 기초과학연구기술의 실용화를 극대화하고 있으며, 특히 학교재단인 삼성과 긴밀한 기술교류를 통하여 최첨단 ICT 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잠재력이 우수
- 현장실습프로그램(Co-op)을 통한 스마트시티 전문인력 취업역량강화 : Co-op은 학교 수업과 기업에서의 현장실습을 통하여, 기업은 우수 인재를 조기 발굴 및 검증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학생은 재학 중 현장체험을 통해 졸업 후 진로를 탐색하는 기회를 제공
서울시립대학교
사업 목표
- 스마트한 미래도시의 안전, 이동성, 편리성, 친환경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일자리 및 창업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혁신인재 양성
- 포용적 스마트시티를 통해 미래도시혁신을 선도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인재 육성
- 스마트 도시계획·재생, 스마트 생활안전,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재난·방재, 스마트 에너지·환경, 스마트 공간정보,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기술, ICT기반 도시플랫폼 분야를 스마트시티 융·복합 전공으로 구성하여 도시재생을 보다 스마트하게 추진할 수 있는 ‘Smart- 𝑖² CORE 인재’ 육성
-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양성 및 스마트시티 산업활성화에 기여
- 스마트 도시기술의 해외수출과 직업 수요에 대응한 글로벌 스마트시티 인재 육성
사업 기간
- 협약체결일 ~ 2023년 12월 31일 (4년 10개월)
사업비
구분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4차년도 | 5차년도 | 계 | 구성비 |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합 계 | 500 | 500 | 500 | 500 | 500 | 2,500 | 100% | |
정부지원금 | 290 | 290 | 290 | 290 | 290 | 1,450 | (58%) | |
대학 부담금 |
대학 | 210 | 210 | 210 | 210 | 210 | 1,050 | (42%) |
협력기관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소 계 | 210 | 210 | 210 | 210 | 210 | 1,050 | (42%) |
신입생/졸업생 관련 정보
- 신입생 모집목표 : 총 125명 (석사 100명, 박사 25명)
- – 졸업생 배출목표 : 총 90명 (석사 80명, 박사 10명)
네트워크
- 스마트시티 혁신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 내 관련 학과간의 협력체계 구축 : 도시기능 및 서비스 관련 다양한 분야의 첨단기술과 도시계획 및 운영관리 지식의 융복합을 실현할 수 있는 도시서비스 플랫폼이므로 대학 내 관련 학과의 능동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교육환경을 조성
- 스마트시티 혁신인재 육성사업 추진을 위한 국제적 협력체계 : 선진국형과 개발도상국형으로 구분하여 실질적인 국제화 성과달성이 가능한 글로벌 프로그램, 스마트시티 국제 협력 모듈(IGLUS) 운영 및 확대추진, 서울시립대학교를 중심으로 한 국제적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구축 등
- 스마트시티 산학협력 선도 모델 창출 및 추진 : 서울시립대 스마트시티 전문가 양성 목표와 기본 개념에 근거한 산학협력 선도모델 구축, 스마트시티 학과 내 「산학협력 위원회」 구성 및 운영 등
계획
- 도시과학대학과 컴퓨터과학, 자연과학이 융합한 스마트시티 학과 신설·운영
- 도시과학 특성화 대학의 축적된 교육과 연구수행 체계를 바탕으로 국민체감도 높은 8개 분야(스마트 도시계획·재생, 스마트 생활안전,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재난/방재, 스마트 에너지/환경, 스마트 공간정보, 스마트 건설 및 유지관리기술, ICT기반 도시플랫폼 기술)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 전문가 양성
- 다학제간(도시과학대-공과대-자연과학대) 융복합교육이 산학연관의 ‘현장실무중심의 SmartCity Living Lab’에서 실현되는 「Learn/Connect-Accelerate-Strengthen」교육 시스템과 교과목 구성
- 스마트시티 업계 수요를 반영한 교육 커리큘럼 구성과 평가 및 개선 체계
- 국내외 인턴쉽 프로그램의 적극적 활용
- 서울시와의 협력체계로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양성 성과 최대화
- 대학의 산학네트워크와 창업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스마트시티 일자리 창출
- 기존의 도시과학 교육기반, 글로벌 시스템, 4차산업혁명 기술의 적극적 활용과, 서울시 공간과 시설, 거버넌스 협력체계를 활용하여 차별화된 스마트시티 교육
- 도시과학연구원(스마트시티 연구센터, 융합도시연구센터 등), 도시과학빅데이터/AI연구소, 자연과학연구소(계산과학연구센터, 수리과학 및 통계학연구센터 등), 도시빅데이터 융합학과 등 교내 연구센터를 통한 교육-연구의 유기적인 연계와 세미나 개최 등 연구결과의 대외 홍보 및 공유
강점(특징)
- 현재 서울시립대학교는 도시과학 특성화 대학으로 도시과학 특성화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어 지원받은바 있어 미래 도시서비스 및 기술 개발을 위한 스마트시티 교육에 최적의 대학
- 다양한 도시과학 관련 대학 및 기관과의 협력사업 실적과, 아시아권 도시 관련 공무원 교육을 통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시티 대학원생의 국제화 및 우리나라 스마트시티 기술 및 인력의 수출에 기여 가능
- 서울시와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보유하고 있어 스마트시티 교육 및 연구성과의 현장 적용 및 실험에 용이
- 대학이 보유한 해외 대학, 정부(중앙/지방) 및 산업체의 도시 전문가 및 실무자들과의 협력체계를 통해 효과적인 스마트시티 학과 학생들의 국제화 가능
연세대학교
사업 목표
“도시공학, 산업공학, 전기전자공학, 컴퓨터과학 전공 간 학제융합을 통해 스마트시티에 대한 포괄적인 지식을 갖추도록 하고 산학 및 지자체, 국제협력을 통해 실무지식과 경험을 갖춘 글로벌한 창의 혁신인재를 양성”
사업 기간
- 협약체결일 ~ 2023년 12월 31일 (4년 10개월)
사업비
구분 | 1차년도 | 2차년도 | 3차년도 | 4차년도 | 5차년도 | 계 | 구성비 |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합 계 | 425.2 | 420.2 | 420.2 | 428.2 | 425.2 | 2,119 | 100% | |
정부지원금 | 290 | 285 | 285 | 293 | 290 | 1,443 | (68.1%) | |
대학 부담금 |
대학 | 135.2 | 135.2 | 135.2 | 135.2 | 135.2 | 676 | (31.9%) |
협력기관 |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
소 계 | 135.2 | 135.2 | 135.2 | 135.2 | 135.2 | 676 | (31.9%) |
신입생/졸업생 관련 정보
- 매년 평균 31명의 신입생 입학과 평균 2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있으며, 졸업생은 연구원 및 공공기관, 산업체의 스마트시티 관련 유관분야로 취업
네트워크
- 스마트시티 산학관연 협력체계 구축 : 산업체, 지자체, 연구원, 공공기관과의 대외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세미나, 강연, 교류 등 다양한 스마트시티 융합서비스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현장경험을 쌓고 국제적 스마트시티 전문인력을 양성. 인턴쉽, 프로젝트 참여 등 산학협력체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학생들에게는 진로와 연결될 기회를 제공. 스마트시티에 관심이 있는 지자체 및 공공기관을 파악하고 스마트시티의 발전과 스마트시티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협력
- 국제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연세대학교 스마트시티 융합서비스 연구개발단과 MOU를 체결한 러시아 MGIMO 대학과 석사과정 ‘Smart City Management’ 교육 프로그램 및 공동교과목 운영, 국제세미나 등 교육 협력
계획
- 교육분야 : 스마트시티 교육과정 : 도시공학, 산업공학, 전기전자공학, 컴퓨터과학 전공 참여로 스마트시티 기술, 인프라, 융합서비스 3대분야를 중심으로 전문지식과 실무를 병행한 교재 개발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연구분야 : 스마트시티 관련 R&D 및 과제 수주를 통한 스마트시티의 세부 산업 분야 및 발전 범위를 도출하고, 관련 과제를 스마트시티 3대 분야인 인프라, 기술, 융합서비스 분야에 맞추어 연구 지원. 다학제한 협력을 통한 스마트시티 융합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분야로 전공별 특화연구와 융합연구로 나뉘어 스마트시티 연계 분야에 관한 특성화 연구 가능
- 창업 및 진로 : 취업설명회 참여 지원, 관계기관 연결 및 교류 확대, 산업분류에 맞춘 인력수급 예측과 육성, 실무 연계 프로그램 운영. 창업지원센터 연계 및 지원, 스마트시티 융·복합 창업 지원
- 운영분야 : 혁신인재육성사업의 운영을 위한 행정·교육 인력 충원 및 활용. 장학금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홍보 및 연구 성과확산을 위한 입학설명회 개최, 홍보 브로슈어 제작,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홍보 활동
강점(특징)
- 연세대학교 스마트시티 융합서비스 연구개발단은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사업을 위하여 스마트시티 융합서비스 분야에 특화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2006년 3월 연세대학교 내에 설립되어 지금까지 약 16년간 운영
- 본 연구개발단은 일시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인 기관으로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사업의 종료 후에도 지속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며,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시티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지속적 교육
- 스마트시티 융합서비스 중심의 융합학문을 지향하며, 실험․실습 중심이 아닌 다양한 교육 및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며 학재 융합을 통한 스마트시티 융·복합 혁신인재를 양성
- 연세대학교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세계 유수대학과의 글로벌 학술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