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온텍트 사회로의 전환과 인간의 가치 강조

 

□ 정세균 국무총리는 5월28일(목) 오후, 삼청당(총리 서울공관)에서 사회·문화·교육분야 전문가와 함께 제5차 목요대화를 가졌습니다.

참석자(14)

󰋻전문가(10) : 유현준(홍익대 건축학과 교수), 김누리(중앙대 독문과 교수), 장덕진(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권태선(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 김종휘(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김재홍(CJ ENM 전략지원실장), 김성열(경남대 교육학과 교수), 조현구(클래스팅 대표이사), 김청해(서울 창덕여중 과학교사), 이창훈(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사회부총리, 문체부 장관, 반상진(한국교육개발원장), 박용진 의원(민주당)

□ 이번 목요대화는 ‘코로나 이후 새로운 일상 준비’를 주제로 6차에걸쳐 개최되는 릴레이 간담회 중 다섯 번째로, 지난주 경제분야에 이어 사회·문화·교육 전문가들과 의견을 나누는 자리로 마련됐습니다.

 

□ 정 총리는 이미 우리 사회는 비대면을 뜻하는 언택트(un-tact)를 넘어 온라인 연결을 뜻하는 온택트(on-tact) 사회로 재편되고 있다면서,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서 방향을 잡기 위한 최선의 전략은 ‘디지털 사회로의 신속한 전환’이라고 말했습니다.

ㅇ 교육과 문화도 과감한 제도혁신과 규제개혁을 통해 비대면 디지털 원격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비대면 문화·여가 활동을 위한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했습니다.

ㅇ 아울러, 개인의 사회적 고립, 공동체 해체, 디지털 격차로 인한 사회·경제적 불평등, 사이버 범죄와 같은 디지털 사회의 부작용에 대비하기 위해 사회적 안전망을 확충하고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하면서 디지털 온택트 사회에서도 여전히 인간(휴머니즘)은 가장 중요한 가치임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습니다.

 

□ 첫 번째 발제는 ‘포스트 코로나의 공간’이라는 주제로 유현준 홍익대 건축도시대학 교수가 맡았습니다.

ㅇ 역사적으로 전염병과 도시변화는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면서, 코로나19 이후 언택트, 재택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학교, 종교시설, 상가 등 기존의 오프라인 시설의 활용도가 떨어져 빈공간이 만들어지고, 실내공간이나 전통적 아파트 대신 야외공원이나 테라스가 있는 거주 공간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등의 변화가 초래될 것으로, 도시공간 재구성과 이와 관련한 법·제도 개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 이어서, 김누리 중앙대 독일어문학전공 교수는 ‘대한민국 새100년, 새로운 교육으로(Meritocracy에서 Dignocracy로)’라는 발제를 통해,

ㅇ 경쟁지상주의, 주입식교육 등의 한국 교육현실이 학생들의 개성과 자아를 약화시키고, 좌절이 일상화된 삶을 살게 하고 있다며, 코로나와 4차산업혁명 등 사회변화 계기 새로운 교육에 사회적 공감대가 마련된 참에, 교육 패러다임을 경쟁 중심의 능력주의(Meritocracy)에서 연대·공감·창의 능력을 키우는 존엄주의(Dignocracy)로 전환하자고 하면서 대학입시·대학서열·대학등록금·특권학교 폐지를 방안으로 제시했습니다.

 

□ 특히 오늘 목요대화는 온라인 학습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클래스팅 조현구 대표이사와 EBS라이브 특강 및 학교 온라인 수업하고 있는 서울 창덕여중 김청해 과학교사가 참석하여 온라인 수업 현황 등 학교 현장의 모습과 애로사항 등을 공유했습니다.

 

☞원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