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지별 빅데이터 수집·활용 통해 지역 맞춤형 농업기술 보급 –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제주농업기술센터는 디지털 농업의 현장 확산을 위한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 고도화’ 사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 기후변화 속 미래농업으로 디지털 농업이 대두되면서 단위 필지별로 작물을 모니터링·측정·분석해 최적의 양·수분 관리를 목표로 하는 정밀농업 및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 등 ICT를 활용하는 스마트농업에 대한 농업인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 이에 따라 제주농업기술센터는 2019년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를 조성하고, 센터 내 열대 및 아열대과수 재배시설·공정육묘장 등과 연계해 스마트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 특히,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 교육장은 스마트팜 시범사업 대상자 및 디지털 농업에 관심이 많은 농업인에 대한 교육·컨설팅 등 영농기술 보급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 제주농업기술센터는 빅데이터 고도화를 통한 제주지역 맞춤형 스마트농업 기술 확산을 위해 올해 5,000만 원을 투입해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 고도화’ 사업을 추진했다.

 이번 사업을 통해 스마트팜 첨단하우스에 천·측창 보온커튼, 베드시설, 송풍팬 등을 설치하는 등 내부 환경 시설을 보완했다.

 또한, 첨단하우스 및 공정육묘장에 건습구센서, 토양센서 등 측정장치, 데이터 수집장치, 영상장치와 같은 빅데이터 수집 시설을 추가했다.

 테스트베드에서는 하우스 내 온·습도, 강우 등 환경정보와 초장·엽수 등 생육정보가 자동 수집되고, 데이터는 작목별 생육 및 환경관리 진단 및 최적 환경 조건 유지에 활용된다.

– 스마트팜 시범농가 데이터는 농업기술원과 농촌진흥청 스마트 영농지원시스템과 연동해 조회 및 분석된다.

 현재 스마트팜 첨단하우스에서 데이터 기반 최적의 환경 및 양·수분 관리로 딸기·토마토 등 과채류가 양액재배 중이고, 이후 다른 작물에 대한 시험 재배도 추진할 계획이다.

 임황 농촌지도사는 “ICT·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스마트농업 기술을 현장에 신속하게 확산하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1년 스마트농업 테스트베드 고도화 사업 추진계획

 ICT 활용 신기술을 실천하는 농업인을 위한 스마트농업 교육장 운영을 통해 스마트팜 농가 확산 및 영농기술 보급
 2 ~ 3세대 스마트팜 기반 조성을 위한 농업환경정보 활용 및 스마트농업 교육·컨설팅 추진

1. 테스트베드 현황
 스마트 테스트베드 및 통합 관제실 현황

2. 세부 추진계획
가. 빅데이터 수집 인프라 구축
 내부 환경 시설 보완
– 세부내역: 천·측창 보온커튼, 베드시설, 송풍팬
– 사 업 비: 28,000천원
– 예산과목: 농업기술원, 농촌진흥사업 기반조성, 제주농업기술개발, 스마트영농지원체계구축(제주), 시설비및부대비, 시설비
 빅데이터 수집 및 활용 시설 보완
– 세부내역: 건습구센서, CO2센서, 토양센서(지온, 지습, EC), 데이터수집장치, 영상장치
– 사 업 비: 22,000천원
– 예산과목: 농업기술원, 농촌진흥사업 기반조성, 제주농업기술개발, 스마트영농지원체계구축(제주), 시설비및부대비, 시설비
나. 분기별 사업추진계획
 1분기: 사업계획 수립
 2분기: 계획 수립, 실시설계 및 계약체결, 공사 착공 및 준공
 3분기: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4분기: 사업완료 및 농업인 교육
다. 테스트베드 데이터 수집 및 활용
 대상작목: 딸기, 하미과, 고추(육묘), 배추(육묘) 등
 수집항목
– 환경정보: 온·습도, 일사, 강우, 풍향·풍속, CO2, 지온·지습, EC
– 생육정보: 초장, 엽수, 엽장, 엽폭 등
※ 빅데이터 측정 기준 및 항목은 농촌진흥청 데이터 수집․전송체계를 따름
※ 농촌진흥청 『스마트영농 지원시스템(SFES)』시스템 활용
 활용방법: 작목별 생육 및 환경관리 진단, 최적 환경 조건 유지 방법 검토
라. 스마트팜 농가 데이터 수집
 대상농가: 시설원예 복합환경제어 스마트팜 보급 시범사업 대상 농가
 수집방법: 농업기술원 스마트팜 통합관리시스템 및 농촌진흥청 스마트영농지원시스템과 연동하여 수집
 환경데이터 수집: 테스트베드 환경 및 생육 측정항목과 동일
 생육데이터 수집: 생장측정 및 생산량 데이터, 작업관리 데이터 등
 활용방법: 통합관제시스템과 연계한 데이터 조회 및 분석 서비스 제공

3. 기대효과
 ICT,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적용 및 교육을 통해 지역 맞춤형 스마트농업 기술의 신속한 현장 확산 및 보급

☞ 원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