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차 시장 확대 위해 충전 인프라 구축도 활발히 전개 –

– 연방정부, 주정부는 충전소 설치 관련 세제 혜택, 리베이트 등 각종 지원 마련, 우리 기업의 사전조사 필요 –

전기차 개발로 주목받았던 테슬라에 이어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양산에 적극적으로 뛰어들면서 향후 5년에서 10년 사이 전기차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미국에서도 전기차 확대 정책은 미국 국익과 관련된 최우선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전기차 충전 인프라는 전기차의 보급만큼이나 빠르게 성장할 분야로 전기차 시장의 최대 현안이자 기회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은 전기차 확대 정책과 더불어 충전소 보급을 핵심 과제로 삼고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바, 우리 기업이 주목해야하는 기회에 대해서 알아본다.

2030년까지 전 세계 연간 승용차(전기차 포함) 판매량 전망

전기차 확대를 위해 핵심과제로 떠오른 충전소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030년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차량의 절반은 전기차가 되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하지만 실상은 아직 갈 길이 멀다.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신차 중 전기차는 3.5%에 불과하며, 미국 도로 위 모든 자동차의 1% 미만이다. 전문가들은 미국에서 전기차의 보급이 더딘 이유로 불충분한 충전 인프라를 지적하고 있다.

2021년 10월 현재, 미국 에너지부의 대체 연료 데이터센터에서 공시하고 있는 통계에 의하면 미국에는 총 4만4994개의 전기차 공공 충전소가 설치돼 있으며, 국제 청정 운송에 관한 국제협의회(ICCT: International Council on Clean Transportation)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충전기 수는 약 21만6000개이다. 주로 미국 캘리포니아주, 플로리다주, 텍사스주, 뉴욕주, 워싱턴주를 비롯해 동서부의 대도시 지역에 충전소가 밀집돼 있고 교외지역에는 아직 충전인프라가 많이 보급돼 있지 않다. 바이든 대통령은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소를 50만 개 추가 설치한다는 내용을 공약한 바, 에너지와 자동차 전문가들은 최소 5배 많게는 10배 더 충전소를 지어야 해당 공약이 실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21년 10월 기준 미국의 공공충전소 분포도

주: (좌) Level 2 충전, (우) DC 급속충전

미국의 전기차 충전소 시장 동향

(시장 규모와 벤처캐피털 동향) 미국의 전기차 충전소 시장 규모는 아직까지 크지 않다. 충전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기차 시장이 크지 않고 전통적인 주유소에 비해 비용 대비 손익이 매우 낮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전기차 확대 계획이 실현되려면 충전소 건설이 시급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관련 투자가 증가하고 있고 규모도 서서히 커지는 중이다. 뉴욕타임스는 피치북의 조사 결과를 인용하며 2020년에만 벤처캐피털 기업들이 전기차 충전소에 투자한 비용만 약 10억 달러에 이르며, 이는 지난 5년 동안 충전소에 투자한 금액을 모두 합친 것보다 많다고 보도했다. 2021년 들어서 벤처캐피털 기업들이 현재까지 투자한 금액은 5억 5000달러 이상이다. 리서치 회사인 딜로직에 따르면 월스트리트에서 상장된 특수목적 인수회사(SPAC)는 전기차 및 관련 비즈니스와 관련된 26개의 거래를 성사시켰는데, 이 중 충전회사를 인수하는 거래는 8건에 달했다.

(충전방식) 한편 미국에서는 30분 이내에 전기차를 80%까지 충전할 수 있는 DC 고속 충전소가 많지 않다는 점이 전기차 시장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전기차를 충전하는 방법은 AC(교류, 완속) 충전과 DC(직류, 고속) 충전으로 나눌 수 있다. AC 충전은 전기차의 탑재형 배터리 충전기(교류 전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나 DC 충전은 차량의 탑재형 배터리 충전기를 거치지 않고 배터리에 직접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충전시간이 매우 빠르다. 미국의 전기차 소유주 대부분은 가정에서 전기차를 충전하는데, 가정에 보급되는 전력망은 장거리 전송에 유리한 교류(AC)방식이기 때문에 충전시간이 매우 오래 걸린다. DC 고속 충전기 인프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초기 설치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바이든 정부에서 관련 인프라에 배분하는 사업 예산 규모를 주시하고 있다.

(경쟁동향) 미국에서 현재 가장 큰 DC 고속 충전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은 폴크스바겐이 소유한 Electrify America이다. Electrify America는 현재 모든 차량을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Electrify America에 대항해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로 시장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는 Charge Point도 있다. Charge Point는 충전기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서 구독료를 받는 형태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테슬라는 자사 전기차 판매를 증진하려는 목적으로 자체 충전소를 제공하고 있다. EVgo를 비롯한 대부분의 충전 기업들은 충전시 사용하는 전기량 등을 근거로 요금을 청구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운영하는 반면, Ample은 충전 대신 배터리 자체를 교환하는 모델을 시도해 최근 시리즈 C 펀딩 라운드에서 1억 6000달러의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

미국의 주요 전기차 충전기 관련 업체

미 연방정부의 전기차 충전소 관련 세제 혜택

연방정부에서는 상용 전기차 충전장비를 설치하는 사람에게 설치 비용의 최대 30%(최대 3만 달러)의 세액을 공제하고 있으며(IRS Form 8911), 주거용 전기차 충전장비를 사용하려는 개인에게는 전기차 충전소와 설치비용의 최대 30%(최대 1000달러)의 세액을 공제해주고 있다. 해당 세액 공제는 2021년 12월 31일까지 적용된다. 미국산 조달 특혜제도(Buy American Act) 강화 조항에 따라 연방 재정지원이 투입되는 모든 프로젝트에서 미국산 제품 사용의무를 명시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이 해당 인센티브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미국산’ 제품의 인정 요건*을 만족해야한다.

캘리포니아 전기 자동차 인프라 프로젝트(CALeVIP)의 일환으로 캘리포니아 에너지 위원회가 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은 내용의 리베이트를 제공한다. 리베이트는 선착순으로 제공되며 신청자는 EVSE를 구매 및 설치하기 전에 리베이트를 반드시 예약해야 한다. 적격 신청자, 설치 장소를 비롯한 자세한 요건은 북부 캘리포니아 인센티브 프로젝트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북부 캘리포니아 인센티브 프로젝트

반도-실리콘밸리 프로젝트 역시 캘리포니아 전기 자동차 인프라 프로젝트(CALeVIP)의 일환으로 캘리포니아 에너지 위원회가 자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은 내용의 리베이트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리베이트는 선착순으로 제공되며 신청자는 EVSE를 구매 및 설치하기 전에 리베이트를 반드시 예약해야 한다. 적격 신청자, 설치 장소를 비롯한 자세한 요건은 반도-실리콘 밸리 인센티브 프로젝트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전기 자동차 인프라 프로젝트에서는 지속적으로 인센티브 프로젝트를 업데이트하고 있는 바 우리 기업은 수시로 확인 가능하며, 에너지부에서는 전기와 관련된 모든 캘리포니아 법률 및 인센티브 제도에 대하여 요약 제공하고 있는바 자세한 사항은 여기를 참조하면 된다.

시사점

바야흐로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전성시대가 열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기차의 시장이 성장하는 것에 대하여 소비자들의 환경 의식이 높아지고 있고 진보적인 수준의 기술을 선보이는 전기차 모델이 속속 시장에 나오고 있으며, 정부의 보조금 지원 등의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보고있다. 하지만 여전히 미국의 전기차 소유주들의 대부분은 충전 인프라의 부족 문제를 호소하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 바이든 행정부는 그린뉴딜 정책과 함께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하면서 2030년까지 미국 내 전기차 충전소 50만 개를 추가하고 모든 버스 생산을 전기차로 전환할 것을 공약했다. 이에 따라 바이든 정부는 각종 세제 혜택과 인센티브 등을 제공할 예정인 바, 미국 진출을 염두에 두고 있는 우리 기업이라면 특히 충전 인프라와 관련한 세제혜택, 리베이트 등 각종 인센티브 제도를 잘 알아둘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해 전기차 제조 A사 관계자는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해 OEM, 충전기 제조업체 등 민간업체들과 정부간 협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고 지역별로 인센티브 프로젝트 내용이 조금씩 다르므로, 진출 지역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자료: Deloitte, IHS Markit, 미 에너지부, 미 국세청, ICCT, New York Times, Pitchbook, CALeVIP, KOTRA 실리콘밸리 무역관 자료 종합

☞ 원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