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무협약을 통해 기술지원센터에 관계기관의 역할 및 지원사항 협의 –
– 2023년까지 171.8억원 들여 전처리동, 안전성시험동, 성능시험동 건립 –
– 각종 기술개발과 거래플랫폼 구축으로 배터리 이차사용 원스톱 지원 –

충북도는 10일(10시 30분), 도지사 집무실에서 이시종 충북도지사, 조병욱 음성군수, 조영태 한국건설생활시험연구원장(이하KCL)이 참석한 가운데 ‘배터리 이차사용 중부권 기술지원센터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배터리 이차사용 중부권 기술지원센터’의 조속한 건립을 위해 충북도, 음성군, KCL 등 관계기관의 역할과 책임, 지원사항 등을 명확히 하고자 마련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도와 음성군은 기술지원센터 건립을 위해 필요한 예산 및 인허가 등 행정사항을 신속히 추진한다.

KCL은 세부 추진계획의 적극 이행 및 지역생산 자재구매, 지역인재 우선 채용 등을 약속했다.

‘배터리 이차사용 기술지원센터’는 전기차 보급으로 급격히 늘어난 사용후 배터리의 활용방안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사용 후 배터리의 성능·안전성 평가 기술개발과 이차사용 배터리 인증체계 구축 등을 담당한다.

충북도는 지난 5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제1차 에너지기술개발사업 공모에 중부권 최초 ‘배터리 이차사용 기술지원센터’의 최종 사업대상자로 선정됐다.

충북도는 2023년까지 171.8억원(국비 73억원)을 들여 음성 성본산업단지내 배터리 해체 및 보관을 위한 전처리동과 안전성 평가를 위한 안전성시험동, 전주기 배터리 팩/모듈 성능·신뢰성 평가를 위한 성능시험동 등 3개 동을 모두 건립할 계획이다.

※ 배터리 이차사용 중부권 기술지원센터 구축

① 목 적 : 배터리 이차사용 성능·안전성 기술지원 인프라 구축
② 위 치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성본산단2로 107 (성본산단 內)
③ 면 적 : 부지 13,573㎥, 건축 연면적 2,310㎥(잠정)
④ 예 산 : 총 171.83억원(국비 73, 지방비 34, 민간 64.83)
⑤ 시 기 : 2021년(설계공모 등) ~ 2024년(준공·운영)

또한, 사용 후 배터리 안전 해체기술, 사용 후 배터리 전용 BMS기술 등 배터리의 잔존 성능 측정시간 단축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거래 플랫폼을 구축해 배터리 분석데이터 기록과 사용이력 관리를 통한 신뢰성 있는 원스톱 거래 서비스를 추진한다.

이시종 충청북도지사는 “사용 후 배터리 관련 신산업을 발굴하고, 오창에 건립중인 이차전지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와 연계해 배터리 소재부품 개발 및 제조 산업부터 사용 후 배터리 활용 산업까지 육성하게 되면 배터리 산업 전주기 순환 생태계를 조성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붙임 : 1. 배터리 이차사용 중부권 기술지원센터 구축 업무협약
2. 한국건설생활환경연구원(KCL) 조영태 원장 프로필

붙임1

배터리 이차사용 중부권 기술지원센터 구축 업무협약

협약식 개요
○ 일시/장소 : ’21. 12. 10.(금), 10:30 / 도지사 집무실

○ 협약기관 : 충청북도, 음성군,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 참 석 자 : 충청북도지사, 조병옥 음성군수, 조영태 KCL원장 등 7명

○ 주요내용 : 배터리 이차사용 중부권 기술지원센터 구축사업 조기 성과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

진행순서(안)

협약 주요내용


붙임2

조영태 KCL원장 프로필 및 KCL주요현황

조영태 KCL원장 프로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주요현황

○ 설 립 일 : 2015. 7. 1.

○ 설립목적 : 건축자재, 토목 관련 제품, 생활·환경, 물류, 의료기기, 녹색산업 등 대한 시험·평가·인증과 연구 개발 등을 통해 산업발전 및 국가 경쟁력 제고

○ 위 치
– (본원) 서울 금천구 / (본부) 에너지, 모빌리티, 충청, 영남, 호남 등 18개
– (모빌리티본부 배터리센터) 충북 진천군 소재

○ 관련사업
– (시험/검사) 에너지 효율 성능검사, 이차전지 성능·안전성 시험 등
– (인증/심사) KS·KC 인증 및 조달검사, 품질인증, 천연화장품 및 유기농화장품 원료승인 및 인증 등
– (연구개발) 표준화 연구, 신제품 및 제품성능 향상 기술개발, 기업기술지원 등
– (기 타) 교육/숙련도/컨설팅, 해외 협력사업 및 해외인증, 중소기업 지원사업 등

☞ 원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