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봇, AI, IoT 등 첨단 ICT 기술 활용한 신규 3개 스마트시티 서비스 도입
– ‘자율주행 로봇’이 어린이대공원·탄천둘레길 순찰해 위급상황 감지·알림, 생활방역
– 금천구엔 IoT 센서로 전기차 충전구역 진입 불법 주정차량 모니터링·경고
– 마포구엔 IoT 기반 투명페트병 분리배출함 설치해 생활폐기물 재활용률 강화
□ 서울시가 방범 순찰, 불법 주정차 발견, 생활 폐기물 분리배출 같은 시민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로봇,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ICT 기술 기반의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도입한다.
○ ‘스마트시티 서비스’는 로봇·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 최신 ICT를 활용해 시민 생활 속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시민들이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똑똑한 서비스를 말한다.
○ 그동안 스마트폴, 스마트 횡단보도, 스마트 보안등 같은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가로등, CCTV, 횡단보도 등 같은 시설물에 주로 도입해 교통사고·고독사를 예방 등 시민 편의를 높였다면, 이제는 기술의 활용 범위를 더 넓힌다.
□ 내일(2.21)부터 광진구 어린이대공원과 송파구 탄천 둘레길에서 네 바퀴로 다니는 ‘자율주행 로봇’을 만날 수 있다. 로봇이 공원과 둘레길 곳곳을 순찰하면 인공지능(AI)이 비명소리, 화재 등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사물인터넷(IoT)이 관제실에 음성과 사이렌으로 긴급 상황을 알린다. 로봇은 소독약 분사, 자외선 소독, 발열체크 등 생활 속 방역 업무도 담당한다.
□ 금천구에선 사물인터넷(IoT) 센서로 전기차 충전구역에 불법 주차한 일반차량을 모니터링하고 음성안내와 경광등을 통해 불법주차임을 알리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마포구에선 투명페트병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기반 투명페트병을 분리배출함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 서울시는 이와 같은 3개 시민 체감 스마트시티 서비스 ①‘자율주행 순찰 로봇’ 서비스 ②‘전기차 충전구역 모니터링’ 서비스 ③‘IoT 투명페트병 분리배출함’ 서비스를 구축해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 첫째, ‘자율주행 순찰 로봇’은 로봇,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ICT 기술이 결합된 서비스로, 가로 751mm, 세로 1,102mm, 높이 1,077mm 크기다. 공공장소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신속한 대응을 통해 사고·범죄를 예방해 시민들이 야간 시간에도 공원을 더 안전하게 이용하도록 지원하고 순찰과 방역 업무를 보완한다.
○ 공원, 둘레길 곳곳을 다니며 방범 순찰과 생활 방역 업무외에도 시민들에게 야간 시간(오후 10시~오전 5시) 퇴장 안내, 시설 이용 시 주의 사항 등도 안내한다.
※ (예시) 음성 안내 기능
안녕하세요. 서울시 자율주행 순찰 로봇입니다. 어린이대공원 마감시간은 밤 10시까지입니다. 잠시 후 조명이 소등될 예정이며, 편의시설 운영도 종료됩니다. 안전하게 귀가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산책, 조깅 등 휴식과 운동 공간으로 시민들에게 인기가 높은 광진구 어린이대공원, 송파구 탄천 둘레길에 각각 한 대씩, 총 2대가 운영된다.
□ 이번 자율주행 순찰 로봇은 신산업·신기술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일정 조건에서 법적 규제를 유예·면제하는 「규제 샌드박스」 실증 특례 지역으로 승인(산업통상자원부, 2021.12.30.)받아 시행할 수 있게 됐다.
○ 보행안전법 등 관련 법상 로봇은 차에 해당돼 보도(步道)에서는 운행이 불가능 하지만,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공원과 둘레길에서도 사용이 가능해졌다.
※ (예시) 규제 개선사항
도로교통법상 ‘차’에 해당되어 보도, 횡단보도, 공원 등에서의 로봇 통행 제한 허용
실외 자율주행 로봇의 규재샌드박스 부가 조건인 “로봇 주행 시 안전요원 필수 동행” 완화
□ 시는 다중 환경 감지, 인공지능(AI) 사건·사고 인지 등 로봇을 운영하면서 서비스를 고도화해 자율주행 로봇 서비스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코로나19로 높아진 비대면 서비스 수요에 대응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향후 수집된 주행 데이터는 자율 주행 로봇의 법적 규제를 개선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 둘째, ‘전기차 충전구역 모니터링’ 서비스는 사물인터넷(IoT) 주차 검지 센서가 환경부 차량번호 조회를 통해 주차구역으로 진입한 차량의 번호를 인식, 전기차 여부를 확인하고 비전기차일 경우 불법 주정차임을 알리는 서비스다. “전기차 충전구역입니다. 다른 지역에 주차해 주십시오”라는 음성안내와 경광등이 켜져 불법주차임을 알린다.
○ 현재 양천구, 강남구 등에서 시행 중인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모니터링’ 서비스를 전기차 충전구역 불법 주정차 예방 분야에 확대 적용한 것이다.
□ 금천구청과 금천구 내 공영주차장(독산4동·시흥4동·다목적)의 전기차 충전구역 10면에서 시행한다.
□ 시는 이번 서비스를 통해 전기차 충전구역 확보, 전기차 운전자 충전 편의 향상, 충전구역 주차문화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작년 12월 한 달 동안 이 서비스를 시행한 결과, 경광등·음성안내를 받고 약 80%(530건 중 425건)의 차량이 5분 이내 즉시 출차해 계도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했다.
○ 서울시내 전기차는 작년 8월 기준 3만 대가 넘었고 충전 시설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전기차 충전구역에 무질서한 일반차량의 불법 주정차로 인해 전기차 충전구역이 몸살을 앓고 있다. 이로 인한 민원도 다양하게 제기되고 있다.
※ 전기차 관련 실태
市 전기차 보유(‘19.1월-9,571대, ’20.1월-15,353대, ‘21.8월-31,220대)
일반차량의 전기차 충전구역 주정차시 과태료(10만원, 환경 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촉진에 관한 법률) 부과대상 구역임을 인지하지 못하고 불법 주정차 하는 차량이 다수 발생됨.
□ 셋째, ‘IoT 투명페트병 분리배출함’은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분리배출함이다. 이곳에 투명페트병을 버리고, 전용 모바일 앱(오늘의 분리수거)을 깔아 QR코드를 찍으면 내 앱에 포인트가 적립된다. 투명페트병을 친환경 원료로 재활용률을 높여 생활폐기물 자원순환 효과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 분리배출함에 달린 내장 카메라엔 딥러닝 기술이 적용돼 있어 페트병이 인식되면 투입구가 자동으로 개폐된다.
□ 시민들은 페트병 1개 당 10포인트가 앱에 적립돼 모은 포인트로 편의점 등에서 물건을 구매 할 수 있다. 100포인트가 모였을땐 우유 200ml 1개, 2,000포인트로는 피자, 업사이클링 티셔츠를 구매할 수 있다.
○ 또한 페트병 수집량이 온라인을 통해 전송돼 관리자가 즉시 확인할 수도 있다.
□ 마포구 내 1인 가구, 청년층 밀집‧이동 지역, 대학교, 공공도서관, 청년주택, 아트센터 등에 총 10대가 설치됐다.
○ 투명 폐페트병은 장섬유를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원재료이지만 재활용은 낮은 수준이다. 20~30대 혼족,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플라스틱 소비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청년층이 많이 이용하는 장소에 분리배출함을 설치했다.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제의 자원순환 효과(환경부 제공)
․ 년 10만 톤의 국내 고품질 재활용 원료 확보 가능
․ 500ml 투명페트병 12병으로 일반 티셔츠, 32병으로 긴소매 기능성 재킷 생산 가능
□ 박종수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서울시는 시민의 생활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안전, 환경 등의 문제들을 최첨단 ICT기술을 통해 해결하고자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추진하고 있다.”며 “향후 시민 만족도와 효율성이 높은 서비스는 시 전역으로 확대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도시 서울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붙 임
시민 체감 스마트시티 서비스
자율주행 순찰 로봇 서비스
○ 설치 사진
< 광진구 어린이대공원 > < 송파구 탄천둘레길 >
○ 서비스 구성도
전기차 충전 전용구역 모니터링 서비스
○ 설치 사진 (금천구 독산4동 공영주차장)
※ 설치 장소 : 금천구 관내 주차구역 10면
‧ 금천구청(7), 다목적 공영주차장(1), 독산4동 공영주차장(1), 시흥4동 공영주차장(1)
○ 서비스 구성도
IoT 투명페트병 분리배출함 서비스
○ 설치 사진 (마포중앙도서관 B1 이마트24 앞)
※ 설치 장소 : 마포구 관내 10개소
‧ 마포아트센터, 신촌이랜드PEER 청년주택, 홍익대 기숙사, 서강대 우정원, 마포구청, 마포중앙도서관, 마포구민체육센터, 염리2구역 주민편익시설, 주민센터(합정동,도화동)
○ 이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