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2022년 스마트 도시·서비스 인증 공모 결과 9곳의 도시와 4개의 서비스가 인증대상으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스마트 도시 인증은 지자체의 스마트 역량을 진단하고 우수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21년부터 시작된 사업으로, 대도시/중소도시로 유형을 구분(인구 50만 기준)하여 평가가 이루어졌다.
인증을 신청한 24곳의 지자체를 심사한 결과, 대도시는 김해시·인천광역시 등 4곳, 중소도시는 강릉시·달서구(대구) 등 5곳이 선정되었다.
* (대도시) 김해시, 수원시, 시흥시, 인천광역시 ※ 가나다 순
(중소도시) 강릉시, 대구 달서구, 서울 강동구, 서울 서초구, 오산시<참고1>
올해 첫 시행을 맞은 스마트 서비스 인증은 효용성 높은 서비스의 발굴·확산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으로, 이번 공모에서는 그간 확산성과가 높았던 교통분야 서비스를 대상으로 인증심사가 실시되었다.
기업이 단독으로 응모하거나 지자체와 협의체를 구성하여 인증을 신청했으며, 총 10건의 서비스가 접수되어 “스마트 시티패스(부천시 협의체)”, “스마트 파킹 서비스((주)대흥정보)” 등 4개 서비스*가 인증을 받았다.
* 스마트 시티패스, 스마트 통합주차정보시스템, 스마트 파킹 서비스, IoT 공유주차 서비스<참고2>
<①스마트 도시 인증>
스마트 도시인증 심사는 지자체의 ①스마트도시 서비스 및 기반시설 수준, ②관련 제도기반과 추진 체계, ③시민과 지방 공무원들의 전문성·혁신성을 종합적으로 평가·점수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56개의 세부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총 배점 70%의 이상 평가를 받은 도시에 인증을 부여했으며, 인증 도시는 국내외에 우수한 스마트도시로 홍보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 장관 표창과 동판이 부여된다.
대도시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곳은 인천광역시로,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 등 우수한 기반시설을 갖췄다는 점, 방재·환경·방범 등 다양한 공공 도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혔다.
특히, 지역 내 대중교통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공공기관·기업이 협력체계를 구성하여 지능형 합승택시, 수요응답형 버스 등의 서비스를 새롭게 도입하고 확산한 성과가 우수하다고 평가받았다.
중소도시는 강남구·구로구 등 서울권 도시만 선정되었던 ‘21년과 달리, 올해는 강릉시, 대구 달서구 등 지방 도시들도 인증을 취득하는 성과가 있었다.
대구 달서구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는데, 인공지능 기반 교통분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주요 교차로의 정체를 완화하고, 지역 산업단지에 에너지 관리기술을 도입하여 친환경·고효율 산업공간을 조성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②스마트 서비스 인증>
스마트 서비스인증은 ①체감효과 및 시민 만족도, ②기술·기능의 수준 및 적합성, ③지역 확산 가능성 등을 평가할 수 있는 64개 지표를 활용했으며, 도시인증과 마찬가지로 총 배점의 70% 이상 평가를 받은 서비스에 인증이 부여되었다.
대표사례는 ㈜데이터얼라이언스 등 4개 기업과 부천시가 공동 개발한 “스마트 시티패스”로, 부천시 내의 대중교통과 다양한 공유교통 서비스*를 하나의 앱(App)으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공유차, 공유주차장 등
스마트 시티패스에 연동된 교통수단을 조합하여 최적 경로탐색을 지원하고, 국토교통부 알뜰교통카드와 연계하여 이용자들의 마일리지 적립까지 지원하는 등 효용성을 인정받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인증받은 서비스에 대해서는 국토교통부 장관 표창을 수여하고, 공공부문 조달 절차상 혜택이 있는 혁신제품*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지원 예정이다.
* 혁신성·공공성이 인정되어 조달정책심의회가 지정하는 제품으로, 공공조달시 수의계약, 공공기관 시범구매 지원 등 혜택
국토교통부 길병우 도시정책관은 “인증제를 통해 국내 스마트 도시·서비스 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지속적인 성과확산을 위해 지역의 스마트도시 육성과 혁신기업 생태계 조성 등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