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공모 결과, 거점형 1개, 강소형 3개 지자체 선정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2024년 스마트도시 조성사업공모 결과, 거점형은 충남 천안시 1개소, 강소형은 경기 광명시, 강원 태백시, 경북 경산시3개소선정하였다.

□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은 지자체민간기업 등이 힘을 모아 기존 도시다양한 문제해결하기 위해 지역 특성에 맞는 획기적인 서비스를 찾고 만들어 나가는 사업이다.

 

ㅇ 올해는 2개 유형(거점형, 강소형)으로 나누어 공모 접수(5.27.~29.)하였다.

 

거점형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 솔루션을 개발ㆍ실증하여 스마트도시 확산을 이끌어 갈 스마트 거점을 조성하고,

 

– ‘강소형은 기후위기ㆍ지역소멸 등 환경변화대응력확보하기 위한 특화 솔루션집약된 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은 총 4개 지자체가 신청해 4:1의 경쟁률을 보였으며, 선정된 천안시에는 3년간 국비 160억원(지방비 1:1 매칭)을 지원한다.

 

천안시충청권 메가시티를 견인할 스마트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해 역세권 혁신지구, 스마트그린산업단지, 캠퍼스 혁신파크 일원을 민간 친화적 스마트도시조성하고자 한다.

 

– AI 기반 자원순환 모델, 음성기반 노면분석, 탄소중립 자율주행 셔틀 등 시민체감형 스마트서비스와 함께 디지털트윈 기반 가상실증공간(버추얼 스테이션)을 구축하여 어반테크 기업지원할 계획이다.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은 지자체가 세부유형(기후위기 대응형, 지역소멸 대응형)을 선택하며, 총 17곳이 신청해 5.7:1의 경쟁률을 보였다.

 

ㅇ 선정된 광명시(기후위기 대응형), 태백시(지역소멸 대응형), 경산시(지역소멸 대응형)에는 3년간 각 국비 80억원(지방비 1:1 매칭)을 지원한다.

 

ㅇ 먼저, 광명시는 광명역세권지구 일원에 교통, 에너지, 재해ㆍ안전 스마트서비스를 데이터 기반으로 유기적 연계하는 탄소중립 스마트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 전기이륜차 배달문화 밸류체인, 기업대상 업무용 전기차 공유 등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전환하고, 이상기후 대응을 위해 AI분석 재해 예측, 탄소관리 플랫폼, 신재생에너지 가상 거래 서비스 등을 구현한다.

 

태백시는 급격한 인구감소, 고령화 등으로 인한 지역소멸 위기대응하기 위해 스마트마이닝 혁신기술 기반 지역특화산업 활성화시민포용적 강소도시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 장성광업소(제2갱도)는 스마트마이닝 실증공간으로 활용하고, 무인트럭 운영, 블록체인 기반 자원이력시스템, 디지털 창작소 등 서비스를 구현하여 기업 유치인구 유입유도한다.

 

경산시청년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경제 쇠퇴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존의 도시 인프라(경산 임당 유니콘파크, 청년지식놀이터 등)를 연계‧활용하여 데이터 기반 첨단산업 활성화 도시를 조성하고자 한다.

 

– AI 모빌리티(Bike), 스마트미디어시티 아트 솔루션, 청년창업 스마트 플랫폼, 데이터 에코체인 플랫폼 등 청년과 시민이 참여하는 서비스 구축으로 신사업 일자리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는 지자체로 하여금 사업을 통해 개발되는 솔루션오픈소스공개(거점형 2종, 강소형 1종)하고, 광역지자체에 구축 중인 데이터허브*와 연계하도록 하여 스마트서비스를 보다 빠르고 경제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플랫폼 도시** 구현을 위한 환경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 (데이터허브) 각종 도시정보를 연계‧수집‧분석하여 데이터 기반 도시 운영을 지원하는 플랫폼

 

** (플랫폼도시, City as a Platform) 모든 도시데이터가 연결되는 플랫폼 위에서 공공과 민간, 시민이 함께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서비스와 가치를 창출하는 도시

 

국토교통부 윤영중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공모에 많은 지자체와 기업 등이 관심을 갖고 참여했으며, 지역적 특성적합하고 도시운영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제시되었다”면서,

 

ㅇ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를 구축하고, 다른 지역에도 확산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함께 성장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이번 공모에 선정된 지자체사업계획 발표자료스마트시티 종합포털(www.smartcity.go.kr)을 통해 6월 25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국토교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