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복지재단, ’22년 개소후 스마트 안부확인으로 6천여 가구 이상신호 모니터링 중

– 전력‧통신‧조도 등 생활데이터 분석, 이상 의심되면 전화 또는 출동으로 안부 확인

– 복지재단 “스마트 기술이 사각지대 촘촘히 메워줘… 사회적 고립 예방위해 지속 노력”

 

□ 서울시복지재단 내 사회적고립가구지원센터(이하 ‘센터’)가 지난 ’22년 10월 개소한 이후 1년 9개월간 사회적 고립가구 스마트 안부확인서비스를 통해 안부를 확인한 건수가 총 57,721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스마트 안부확인서비스’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전력․통신․조도 데이터를 AI(인공지능)와 IoT(사물인터넷)가 24시간 감지, 분석하여 이상신호가 생기면 안부를 확인하는 복지서비스다.

 

□ 센터는 현재 서울 시내 총 6,664가구를 대상으로 평일 야간과 주말 휴일 ‘스마트 안부확인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1년 9개월간 안부 확인 46,905건(81.2%)과 개문 38건 포함 353건(0.6%)의 현장 출동이 이뤄졌다.

 

[2024년 스마트안부확인서비스 사례]

# 혼자 사는 70대 가구에서 위기신호 발생하여 관제센터에서 전화와 문자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아 현장에 출동하였다. 집 앞에서 전화를 걸자 안에서 소리가 들려 경찰과 소방대가 출동하여 개문한 결과, 저혈당 쇼크로 쓰러진 상태였다. 이후 동주민센터에서 주기적으로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 치매를 앓고 있던 A씨는 집으로 돌아가는 길을 찾지 못하고 헤매던 중 평소 안부확인을 해주던 관제센터에 전화를 걸어 도움을 요청하였다. 관제센터에서는 경찰에 이를 신고하였고 경찰이 길가에 있는 A씨를 발견해 무사히 집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 전력․통신 등 생활데이터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할 경우 먼저 전화나 문자를 보내고 연락이 닿지 않으면 현장에 출동하며, 현장에서 문두드림이나 호명에도 불구하고 응답이 없으면 경찰 및 소방서와 공조해 안부 확인을 위한 개문 절차 등을 진행한다.

 

□ 센터는 ▴스마트 플러그 ▴1인가구 안부살핌서비스 ▴AI안부든든서비스 ▴똑똑안부확인서비스 등 수시로 안부 확인이 필요한 가구를 대상으로 다양한 스마트 안부확인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 ‘스마트플러그(IoT)’란 TV․전자렌지 등 자주 쓰는 가전제품에 설치하여 전력사용량을 감지하는 플러그로, 일정 기간 전력이나 조도 변화량이 없을 경우 위기 신호가 발생하는 사물인터넷(IoT) 기기다.

○ 그 밖에도 가구 전력(한국전력), 통신데이터(SKT․KT)를 감지하여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안부를 확인하며, 서비스에 따라 휴대전화 사용(앱), 통화 수․발신, IoT센서(문열림 센서 등), 걸음걸이 수(앱) 등을 추가로 확인하기도 한다.

□ 올해부터 센터는 전화 및 방문 등 안부확인 과정에서 고독사 위험 요인이 없는지 모니터링해 고독사 위험요소가 있으면 복지서비스와 연계하고 고위험군은 후속 모니터링도 꾸준히 진행할 예정이다.

 

□ ‘스마트 안부확인서비스’는 선도적인 사업추진 성과를 인정받아 2023년 서울시 종합감사에서 수범 사례로 선정되었으며, 2024년에는 「서울시 약자동행지수 성과평가」에서 우수사례로도 선정됐다.

 

□ 이수진 서울시 사회적고립가구지원센터장은 “복지인력이 사회적 고립가구를 모니터링 하기 어려운 사각지대를 AI와 IoT가 촘촘히 메워주고 있다”며 “앞으로 지자체․민간기관․시민 등 다양한 주체와 협력을 통해 스마트 안부확인서비스를 개선하는 한편 고독사,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출처 : 서울특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