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분도시 시범지구 사업, 탄소중립 도시관리계획, 자전거 활성화 사업 등 중점 추진 –
제주특별자치도는 2025년 도시 분야에 총 491억 원을 투입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15분 도시 제주’성과 창출과 탄소중립 도시관리계획 수립기준 마련 등‘도민과 함께 골고루 잘사는 활력 도시 제주 조성’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2025년 도시분야 주요 투자사업으로
❍ 민선 8기 핵심 공약인 15분 도시 제주 시범지구 2차년도 사업을 본격 추진해 나간다.
– 15분 도시 시범지구 4개 생활권*에 대한 생활필수기능 시설 조성 및 접근성 개선 사업에 103억 원을 투입한다.
* (제주시) ①애월, ②삼도1·삼도2·이도1·일도1, (서귀포시) ③표선, ④천지·중앙·정방·송산
– 주요 사업으로는 ‘전농로 사람중심도로 조성 사업’과 ‘표선도서관 기능 활성화 사업’, ‘보목동 생활문화복합센터 건립’ 등이 있으며,
– 15분 도시 시범지구 생활권 내 주민들의 접근성 개선 지원을 위한 보행환경 개선 및 스마트정류장 조성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또한, 도시지역 내 탄소중립 도시관리계획 수립기준 마련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 지난해 5월 발표한‘2035년 탄소중립 비전’과 연계해 제로에너지건축물(ZEB)* 확산, 분산에너지 활용, 온실가스 감축 등‘도시지역 내 탄소중립 도시관리계획 수립기준’을 마련해 나가고,
* (Zero Energy Building)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 더불어 제주지역 경제활성화를 위한 재건축 고도완화, 도시계획절차 간소화 등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아울러,「제주특별자치도 공업지역 기본계획」의 후속조치로 화북공업지역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을 위해 3억 원을 투입해 추진할 계획이다.
❍ 그리고‘자전거 타기 좋은 제주 조성’을 위해 7억원을 투입해 자전거도로 구축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전국단위 자전거 이용 활성화 행사 개최 및 전기자전거 구입 보조금 등을 지원해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의 역할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그 외에 지역격차 완화를 위한 권역별 균형발전사업 및 읍면동 균형발전 사업에 34억 원, 도시활력 증진을 위한 도시재생사업에 18억원,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소 및 도시주거환경 개선 등에 276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창민 제주도 15분도시추진단장은“2025년은 민선 8기 핵심공약인 15분 도시 시범지구 사업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고, 탄소중립 도시의 미래를 그리는 중요한 한해가 될 것”이라며,“도민의 삶을 질적으로 향상시키는 도시 정책을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