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스마트시티 정책정보를 확인하세요!
제60호(2025.3.6)
스마트시티 이슈

행복도시 수출 위해 팀코리아가 간다

2025.2.26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행복청(청장 김형렬)은 필리핀 도시개발을 돕고 우리 기업의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필리핀 팀코리아(이하 팀코리아)’ 대표단을 이끌고 2월 25일부터 26일까지 필리핀을 방문했다.

정부·공기업, 해외 수주·수출을 지원하는 1.1조원 규모 정책펀드 조성 본격 착수

2025.2.25 / 국토교통부 

 정부와 공공기관이 민간과 협력하여 1.1조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PIS*) 2단계 펀드(이하 “PIS 2단계 펀드”)’를 조성한다. 

스마트시티 정책사업

2027년까지 ‘글로벌 AI 유니콘’ 5개 육성…스타트업 자금지원 확대

2025.2.20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의 AI활용률을 2027년까지 50%로 높이고 글로벌 AI 유니콘을 5개 육성하기로 했다. 

‘원본데이터 활용 AI CCTV 개발’ 착수…규제샌드박스 5개 과제 선정

2025.2.13 / 국무조정실  

정부는 올해 신산업 성장과 민생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한 기획형 규제샌드박스 과제를 5개 선정해 본격 추진한다. 국무조정실은 범부처가 나서 발굴한 기획형 규제샌드박스의 1차 추진 과제목록을 13일 발표했다.

스마트시티 정책동향

전남도, 세계 최대 규모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 나선다

2025.2.27 /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26일(현지 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하얏트 호텔에서 퍼힐스(FIR HILLS), 서남해안기업도시개발(주), 해남군과 함께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전 노후 계획도시 정비, 현장에서 해법 찾는다

2025.2.21 / 대전광역시

대전시는 19일 국토교통부,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와 함께 노후 계획도시 정비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주민 의견을 직접 듣고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는 ‘찾아가는 미래도시지원센터’ 를 시청 3층 세미나실에서 개최했다. 

제주형 지속가능발전, 글로벌 표준 선도한다

2025.2.12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가 대한민국 지방정부 최초로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UN-SDGs)에 기반한 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도정 최상위 정책기조로 채택했다.

오세훈, “글로벌 AI 혁신도시, 서울 만들 것”AI 중심의 산업 육성 ‘속도전’

2025.2.11 / 서울특별시

서울시가 ‘글로벌 AI 혁신 선도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전략을 발표했다. 인재, 인프라, 투자 등 AI 산업 육성을 위한 중추적인 지원부터 첨단산업과의 융복합, AI 대중화와 행정혁신까지 동시에 추진해 AI 중심의 산업 재편을 위한 전방위적인 속도전에 나선다는 목표다.

울산시, 인공지능·빅데이터 기반 지능형 행정 본격 추진

2025.2.10 / 울산광역시

울산시는 2월 10일 오후 3시 국제회의실에서 정보화위원회를 개최하고 ‘2025년 정보화 시행계획’과 ‘제2차 빅데이터 활용 기본계획’을 심의·확정한다고 밝혔다.

경기도, AI클러스터, AI데이터센터, AI혁신행정에 1천억 집중투자

2025.2.9 / 경기도

글로벌 AI 패권전쟁에 대응하기 위해, 경기도는 도내 주요 산업 거점 6곳에 AI클러스터를 조성하고, AI산업 인프라 구축, 스타트업 육성 및 전문인력 양성, 기존산업의 AI전환지원 등을 통한 AI 대전환을 추진한다. 

스마트시티 특집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경제정보리뷰: 마이데이터 개념편

2025.2.3 / KDI
※ 동영상 바로가기 > 이미지 클릭
해외 스마트시티 소식

[크로아티아] 친환경 철도 도입…HŽ, 13대 신규 열차 입찰 공고 발표

2025.2.26 / KOTRA

[크로아티아] 친환경 철도 도입…HŽ, 13대 신규 열차 입찰 공고 발표했다. 친환경 기술력 확보 및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 전기디젤 열차 5대, 전기 배터리 열차 4대, 배터리 열차 4대 총 13대 등을 구매할 계획이다. 

스마트시티 문헌

AI 시장의 부상: 수출 기회의 새로운 장

□ AI의 급속한 성장 배경

 IoT 기기, 소셜미디어, 디지털 서비스 등의 확산으로 글로벌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는 AI 기술의 성장을 견인. 고성능 컴퓨팅의 발전, 인프라 고도화 등 기술적 요인과 고령화와 산업 자동화 필요성 증대 등 사회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 세계 시장과 주요 트렌드

 세계 AI 시장은 연평균 20~30%대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30년까지 1조 USD를 웃도는 시장으로 성장 전망. 특히 생성형 AI로 인한 혁신적 변화는 기존 AI의 경제적 영향을 최대 40% 증가, 4조 USD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됨. 미국, 중국, 싱가포르, 영국 등이 AI 기술 선도 상위 국가로 선정되었으나, 1위인 미국과 타 국가 간의 격차는 큰 편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Global Marketing Report 25-001

A Research on building a Smart City Model based on DID (Decentralized-Identity) using Digital Twin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DID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 구축 연구

도시화는 주거, 교통, 에너지, 환경, 복지, 안전 등의 분야에서 환경을 파괴하고 있다. 이 연구는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DID 기반 안전 스마트 시티 모델”을 제안한다.

홍성혁(백석대학교)

2025, vol.4, no.1, pp. 34-40 (7 pages) / 중소기업융합학회

스마트시티 주요행사
서울 AI 페스타
  • 행 사 명 : 서울  AI 페스타( Seoul AI Festa)
  • 일시/장소 :2025.3.8-2025.3.9,  서울 DDP 아트홀 1관
  • 놀랍도록 빠르게 발전하는 AI의 시대를 맞아, 서울시가 AI를 체험하며 즐겨보는 축제 ‘서울 AI 페스타 2025’를 개최합니다

Inno EX 2025

      • 행 사 명 : Inno EX 2025
      • 일시/장소 : 2025.4.13 – 2025.4.16 / Hong Kong Trade development Council
      • Explore the next business opportunity at the premier platform for smart city innovation and technology commercialisation.
      • Go To InnoEX
korea@smartcity.or.kr / 02-3667-3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