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메타버스 융합도시 광주’ 비전 보고회 개최
– 현실 세계와 같은 가상공간 구현, 새 경험과 경제가치 창출
– 세계적 수준 인프라 조성 등 4대 추진전략 16대 중점과제 발표
– 24개 기업·기관과 업무협약 체결…주요기술 내재화·사업화 박차
– 이용섭 시장 “메타버스 신산업 육성해 ‘신개념 일자리’ 창출할 것”

광주광역시는 미래 초연결·초지능·초실감 시대로의 대전환을 선도할 메타버스 융합 신산업 육성에 본격 나선다.

시는 16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AI-메타버스 융합도시 광주’ 비전을 제시하고, 24개 기관·기업들과 메타버스 융합신산업 생태계 조성에 상호 협력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메타버스(Metaverse)는 가상, 추상을 뜻하는 ‘메타’(Meta)와 현실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활동이 이루어지는 3차원 초현실 세상으로, 인터넷과 모바일을 대체할 ‘인류의 플랫폼 혁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요 증가와 가상 융합기술의 발전으로 그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광주시는 이번 비전 발표를 통해, 인공지능 산업을 기반으로 지능형 메타버스로의 기술 전환을 이뤄 메타버스 융합신사업 창출이라는 새로운 도약을 위한 4대 추진전략과 16대 중점과제를 발표했다.

4대 추진전략은 ▲AI 중심 메타버스 인프라 조성 ▲메타버스 선도형 기술 개발 및 실증 ▲메타경제 생태계 구축 ▲시민과 기업 중심의 융합신산업 확산 등이다.

16대 과제는 ‘AI 중심 메타버스 인프라 조성’을 위해 AI-메타버스 실증도시 조성, 메타버스 융합신산업 특화센터 구축, 세계 최고 수준의 AI-메타버스 첨단 실증장비 구축, 주력산업&공공서비스 실증테스트베드 구축에 나선다.

‘메타버스 선도형 기술개발 및 실증’을 위해 메타도시 플랫폼 개발 및 실증, 메타버스 원천·융합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 산업 특화형 AI-메타버스 융합 서비스 기술개발 및 사업화, AI-메타버스용 공공·민간 데이터 구축·개방 및 활용 등을 추진한다.

‘메타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블록체인·가상자산 규제특례 및 시범사업 추진, 메타버스 법제도개선특위 설치 및 연구특구 지정, 메타버스 관련 기업·기관 유치 및 창업지원 펀드 조성, 메타버스 산업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및 메타버스 엑스포 개최를 추진한다.

‘시민과 기업 중심의 융합신산업 확산’을 위해 메타버스 기반 시민참여형 공공서비스 확대, 메타도시 내 실·가상 경제활동 확산을 위한 메타경제 육성, AI-메타버스 기반 광주형 뉴딜 신규 일자리 창출, 메타버스 산업 연계형 창의 인재양성 및 콘텐츠 생산 클러스터 구축 등에 나선다.

이를 토대로 광주시는 의료헬스케어, 친환경자율주행, 친환경에너지, 문화콘텐츠, 제조 등 5대 대표산업을 메타버스와 융합하는 산업특화형 메타버스와 교육, 행정의 2개 분야에서 시민체감형 메타버스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5+2의 ‘AI-메타버스 서비스를 개발한다.

각 산업 분야에서 시민 요구를 반영한 메타버스 융합 비즈니스 모델을 기업과 함께 발굴, 추진해 시민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또한 광주시는 이날 비전보고에 이어 지역대학, 유관기관 및 전국의 주요 메타버스 관련 기업들과 광주시 메타버스 융합신산업 생태계 조성에 상호 협력한다는 내용의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광주시는 메타버스 기반 미래 산업 프로젝트의 내실 있는 추진을 위해 협약 참여 기업들과 긴밀한 협업 네트워크를 구축해 주요 기술 내재화는 물론, 신속하게 사업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24개 협약대상】

▲네이버 ▲SKT ▲NHN ▲CJ올리브네트웍스 ▲유니티 ▲버넥트 ▲이노뎁 ▲씨이랩
▲딜로이트안진 ▲플레이스비 ▲어반에이핏 ▲로커스 ▲게티이미지코리아
▲유오케이 ▲글로벌창업개발원협동조합▲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호남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주테크노파크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은 “혁신과 도전으로 시대를 선도해 왔던 광주시는 국가 인공지능 거점기지와 연계해 세계적인 AI-메타버스 융합도시 광주를 실현시키고자 한다”며, “인공지능 중심도시,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사람 중심의 휴먼도시, 메타버스 융합신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MZ세대들을 위한 ‘신개념 일자리’를 창출해 메타버스 신산업 육성의 중심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광주를 만들어 갈 것이다”고 밝혔다. <끝>

※ 붙임 : AI-메타버스 융합도시 광주
※ 별첨 : 사진

붙 임 1

AI-메타버스 융합도시‘광주’

Ⅰ. 추진 배경

◈ 메타버스(Metaverse)는 가상세계와 현실세계가 융합된 3차원 초현실 세상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적 활동이 가능한 ‘3차원 가상공간’을 구현하고,
새로운 경험과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게 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

□ (글로벌 경쟁) 메타버스는 인터넷․모바일을 대체할 ‘인류의 플랫폼 혁명’으로 자리매김하며, 주도권 선점을 위한 글로벌 경쟁 심화

ㅇ 초기 게임․엔터테인먼트 중심에서 제조․교육․문화 등 다양한 산업분야로의 활용 확대로, 메타버스 시장은 급성장 전망
※ (글로벌 시장규모) ‘21년 460억$→’25년 2,800억$ (Strategy Analytics, ‘21.6)

□ (국정방향) 정부는 가상융합경제 발전전략(’21.7), 한국판 뉴딜 2.0 (‘21.7)을 통해 메타버스를 핵심 추진과제로 선정, 투자 확대 계획

ㅇ 메타버스 기반의 ‘초연결 신산업 육성’을 위해 ▲개방형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메타버스 콘텐츠 제작 지원 등 추진 예정

□ (메타버스+AI) 메타버스는 다양한 산업으로의 적용 확대를 위해, 데이터․AI 기술과 융합을 통한 ‘지능형 메타버스’ 기술로 진화
※ (사례-스마트시티) 싱가포르는 도시 전체를 디지털 트윈시스템으로 구축, 데이터센터를 활용한 AI 시뮬레이션을 통해 지역관리 및 문제해결 등에 활용

ㅇ 또한 AI에 주로 사용되는 ‘GPU’(그래픽 프로세서) 기반 시스템은 메타버스에도 동일하게 사용되므로, 기존 AI 인프라 활용 가능

⇒ 우리 시도 세계적 수준의 AI 데이터센터 및 관련 인프라, 디지털 컨텐츠 산업 등 역량을 집결시켜, 메타버스 신산업 육성의 중심도시로 도약 요구

Ⅱ. 추진 필요성

1 (시장) 새로운 기회 블루오션

□ (메타경제) 현실세계의 실물 경제의 대체시장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가상 경제시장, 즉 메타 경제가 창조적 혁신*에 의해 성장
※ 혁신을 통한 기존 ‘제품⋅시장의 대체하는 동일한 파이의 나눠먹기가 아니라, 새로운 시장을 형성시켜 파이를 키우는 것

ㅇ (美) 애플, 구글, 페이스북, (韓) 네이버, SKT, CJ 등 다수의 메이저 ICT 기업이 주도권 경쟁 중인 초기 성장단계인 블루오션 시장

□ (주도권) ICT 인프라가 받쳐줄 경우, 실물경제 규모가 작은 지역도 신속한 시장 선점을 통해 지역경제의 비약적 성장 가능

2 (입지) 국내 최고 AI 인프라 연계

□ (인프라) 광주시는 세계 최고 수준의 AI 인프라 및 생태계 조성 사업 등을 통해 최첨단 AI 산업융합 집적단지 구축 중

ㅇ AI 특화 국가 데이터센터(GPU 연산량 88.5페타플롭스, 저장용량 107페타바이트) 및 77종의 AI 산업융합 실증시설 구축

【 광주 AI 집적단지 구축사업 내용 】

– 인공지능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20.~’24.)
– 세계적 수준의 데이터센터 구축(‘20.~’22.)
– AI 종합지원센터(‘20.~), AI대학원+AI사관학교+AI융합대학

□ (데이터자원) AI 사업을 통해 수집한 산업데이터* 자원을 메타버스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어, 국내 기업의 개발비용․시간 단축 가능
※ (분야) ▲의료/헬스케어, ▲자동차, ▲에너지 등

⇒ (투자비용 절감) 광주시 AI 인프라와 연계 시, 메타버스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중복투자 방지를 통해 정부 투자비용 절감 가능

3 (융합) 지역 주력산업과 융합 용이

□ (대표산업) 메타버스와 융합이 준비된 5대 대표산업(총매출 69,652억원, ‘20)을 선정하고 미래 융합신산업으로의 경쟁력 강화 추진
ㅇ AI 뉴딜 가속, 미래신산업 육성, 상생형 일자리 창출 등 정책 방향을 수립하고 메타경제로의 디지털 대전환을 준비
【 광주시 대표산업 주요성과 및 추진계획 발표(21.9.) 】

– 친환경 자동차 산업(53,450억원), 에너지 및 수소 산업(8,555억원), 스마트뿌리산업(3,538억원), 의료/헬스케어 산업(2,239억원), 문화콘텐츠 산업(2,170억원)

□ (콘텐츠 산업) 메타버스 산업의 핵심 경쟁력인 콘텐츠 사업체 수에서, 광주는 인구 1만 명당 23.7개로 전국 2위(총 3,323개, ‘19)

ㅇ 3D융합센터, CGI센터, 실감콘텐츠큐브 등 높은 수준의 실감콘텐츠 제작 인프라도 보유, 아시아문화전당, 비엔날레 등 문화산업 선도도시

Ⅲ. 추진 방향

◈ 인간, 기술, 산업이 어우러진 미래를 위한 새로운 경험을 설계 ◈ 새로운 경제⋅문화⋅사회적 가치 창출을 통해
AI-메타버스 융합도시 ‘광주’를 실현할 수 있는 전략 수립

☞ 세계 최고의 AI 인프라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경제활동 및 ▲산업특화형 메타버스의 두 가지 측면에서 혁신 생태계 조성
☞ 새로운 경제⋅문화⋅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메타버스 리빙랩 기반의 시민 체감형 비즈니스 모델 발굴


Ⅳ. 비전 및 전략


붙임 2

업무협약

1. 협약대상 : 광주광역시장 ⇔ MOU 기관․기업(24)
❍ 유관기관(5)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주TP,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 대 학(4) : 전남대, 조선대, 호남대, 광주과학기술원
❍ 기 업(15) :네이버, SKT, NHN, CJ올리브네트웍스, 유니티,
버넥트, 이노뎁, 씨이랩, 플레이스비, 어반에이핏, 로커스, 게티이미지코리아, 유오케이,
글로벌창업개발원협동조합, 딜로이트안진
2. 협약 주요내용
❍ 협약기관은 2021년부터 진행하는 디지털뉴딜(메타버스 등 초연결 신산업 육성)의 과제 개발을 위하여 공동 협력한다.
❍ 광주광역시는 메타버스 등 초연결 신산업 육성 사업 추진에 있어 협약기관과 협력하고, 광주광역시가 추진하는 R&D, 공공·행정 분야에 메타버스 기술이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한다.
❍ 협약기관은 광주광역시에 메타버스 인프라 조성, 기술개발 및 실증, 메타버스 생태계 조성 및 확산을 위해 긴밀히 협조한다.
❍ 이번 협약을 계기로 협약기관은 정부부처 사업 및 메타버스 관련 인력 양성 등에 있어 상호 우호적 관계를 지속하기 위해 노력한다.

협약목적

⁕ 민간기업 중심 실행과제 발굴 추진

붙임 3

메타버스 개요 및 산업 동향

1. 메타버스의 특징 : 연결, 소통 그리고 협업
ㅇ (연결Connectivity) 메타버스는 다양한 기기를 통해 가상세계와 현실세계가 연동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초연결 세상
☞ 무인화된 공장에서 이상 발생 시 원격으로 가상공장에 입장하여 원인을 직접 확인하고, 가상 장비를 조작하면 실제 공장에 있는 장비가 작동하여 문제 해결

ㅇ (소통Communication) 아바타를 통해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디지털 가상세계에서 소통 및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세상
☞ 가상 회의실에 입장하여 세미나를 들으며 토의하고, 디지털 화폐를 통해 가상의 물건(아이템)을 확인한 후 구매하면 실제 배송을 통해 실물 소유도 가능

ㅇ (협업Cooperation) 현실세계를 복사한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 사람들이 가상의 삶(콘텐츠)을 함께 영위하는 초실감 세상
☞ 광주시를 디지털로 구현한 3차원 사이버 광주에 외계인이 침략했을 때, 시민들이 액션 어드벤쳐 게임을 함께 수행하여 미션 완수

※ 메타버스(Metaverse)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차이점은 연결, 소통, 협업 3가지가 동시에 구현되어, 현실세계와 연동되어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다는 점

2. 메타버스 산업 : AI 등 최첨단 ICT 기술이 총망라되어 융합
ㅇ 메타버스는 빅데이터․AI, 증강․가상현실, 5G 기술이 결합하고, 다양한 3D 콘텐츠가 어우러진 차세대 융합산업

【 메타버스 : XR (혼합현실) + DNA (Data, Network & AI 】


3. 주력산업과의 융합 사례

☞ 원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