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기술]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2025-02-10T17:29:58+09:002024.12.13|우수기술| Post Views: 576 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은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 사고 정보를 CCTV 영상과 함께 통합 관제할 수 있는 모니터링 및 운영 지원 기술이다. 국문(KOR) 영문(ENG) 해결과제 방범, 재난, 교통 등 용도별 CCTV 관제시스템이 분리 운영되어 효율성 저하 * 2023년 공공 부문 운영 CCTV 176만 대 2024년 서울시 운영 CCTV 17.7만 대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건·사고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관계기관이 협력하여 대응할 수 있는 표준화 된 모니터링 시스템 필요 기대효과 용도별 CCTV와 사건정보를 연계, 통합하여 단일 화면에서 통합 모니터링하여 도시 관제의 효율성 향상 재난, 화재, 범죄 등 도시 내 사건, 사고 발생시 지방자치단체, 경찰, 소방 간 공동 대응 체계 확보 주요서비스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안전, 방재, 교통, 환경, 에너지, 시설물 정보를 표준화된 단일 화면으로 제공 - 안전 분야 : 비상벨, 안전주의, 112신고, 사회적 약자 안전 계도, 정기 모의훈련 등 정보 - 방재 분야: 119 신고, 홍수, 긴급 구조/구급, 화재, 태풍, 지하 차도 침수, 수위 경보 등의 정보 - 교통 분야: 교통사고, 고장 차량, 도로 통제, 교통 혼잡, 버스 이탈 등의 정보 - 환경 분야: 환경 정보, 대기오염, 수질오염 등의 정보 - 에너지 분야: 빌딩 에너지 경보, 상가 에너지 등의 정보 - 시설물 분야: CCTV 상태(정상, 고장), 시설물 고장, 시설물 파손, 상수도 누수 등의 정보 긴급 상황 발생 시 현장 출동 중인 경찰, 소방 등 관계 기관 시스템과 연결하여 사건 발생 장소, 사건 정보, 현장 CCTV 영상 정보 실시간 제공으로 공동 대응 지원 주요구성 구성도 주요기술 통합관제 시스템 모니터링 상황판 구성, 실시간 상황 이벤트 표출 기능 감시, 신고 등 주요 기능과 주소 검색, 거리 측정 등 지원 기능 통합연계 시스템 관계 기관 시스템 연계, 내부 시스템 간 정보 교환 설정 관리 기능 통합운영 기능 이벤트 발생 이력, 기간 별 통계 기능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시설물 관리 등 외부 시스템 연계를 위한 공통 코드 관리 POINT 112,119 출동 및 현장 영상 지원, 재난 상황 영상 지원, 어린이 및 치매 노인 보호, 수배 차량 검색 지원, 여성 안전 지원, 민간보안 등 국민 안전망 확장 건축도면 제공 등 외부정보 제공 긴급 상황 발생 시 출동 현장 건축물 도면 제공 안심 귀가 서비스 활용 ‘안심 귀가 서비스’를 신청한 시민이 스마트폰 앱으로 모니터링을 요청하면 인근지역 CCTV 영상으로 목적지 도착 시 까지 모니터링 하고, 긴급 상황 시 경찰 출동을 지원하는 서비스 도입 사례 2016년 4월 대전광역시는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을 이용하여 112,119 서비스를 연계한 결과 범죄율 6% 감소, 소방차 7분내 도착율 15% 상승 2024년 9월 기준 전국 233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을 이용 * (연계유형) 지자체-경찰-소방 간 연계, CCTV 통합관제센터 -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 간 연계, 광역 및 기초 통합관제센터 간 연계 한국 정부(국토교통부) 지원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K-City Network)으로 튀르키예 가지안텝시(2021), 태국 묵다한주(2022), 방글라데시 랑푸르시(2023) 등 에서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도입 기술기업 다누시스 www.danusys.com 홈페이지 브로슈어 관련영상 메타빌드 www.metabuild.co.kr 홈페이지 브로슈어 관련영상 스마트도시협회 www.smartcity.or.kr 홈페이지 브로슈어 관련영상 지오멕스소프트 www.geomex.co.kr 홈페이지 브로슈어 관련영상 LG CNS www.lgcns.com 홈페이지 브로슈어 관련영상 KT www.kt.com 홈페이지 브로슈어 관련영상 목록